PAPER

상업경영연구

논문자료실

HOME상업경영연구논문자료실

자산손상과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: 자산손상 관련 핵심감사사항을 중심으로, 왕경통 · 이우재 · 이윤경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5-03-10 10:25 조회1,386회 댓글0건

첨부파일

본문

자산손상과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: 자산손상 관련 핵심감사사항을 중심으로, 왕경통 · 이우재 · 이윤경


본 연구는 자산손상 관련 핵심감사사항(Key Audit Matters, KAM)이 감사보고서에 기재될 때 감사인의 대응 방식과 손상 관련 KAM의 선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조사한다. 감사인은 KAM을 통해 자산손상과 관련된 위험을 인식함으로써 보다 철저한 감사 절차를 통해 이러한 위험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자 할 유인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조사는 의미가 있다. 2016년부터 2021년까지 상장기업을 대상으로, 자산손상을 KAM으로 선정한 기업들이 그렇지 않은 기업들에 비해 감사시간, 감사보수 및 시간당 감사보수가 증가하는지를 살펴보았다. 분석 결과, 자산손상 관련 KAM을 기재할 때 감사시간, 감사보수, 시간당 감사보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. 특히 이러한 결과는 코스닥시장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으며,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. 이는 핵심감사제도의 도입이 회계정보 비대칭 수준이 높은 코스닥 시장에서 더 큰 실효성을 가진다는 것을 시사한다. 또한 외부감사인의 현장감사 시 상주인원이 많이 투입될수록 자산손상 관련 KAM의 빈도가 감소하였으나, COVID-19 재난 연도에는 KAM의 빈도가 높아졌다. 이는 상주인원이 많을수록 감사품질이 향상되어 자산손상 관련 위험이 감소하는 반면, 경영 부진이나 단기적 재무위험이 높은 상황에서는 경영자의 이익조정 가능성이 높아져 감사인이 인식하는 위험이 증가함을 시사한다. 본 연구의 결과는 자산손상 회계가 기업 경영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에서 관련 위험에 대한 감사인의 대응 방식에 주목함으로써 핵심감사제의 도입 효과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. 또한 상장시장 간 제도 시행의 실효성에 차이가 있다는 결과를 통해 정책적 함의를 제시할 수 있다.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사단법인 한국상업경영학회
주소 : (03028)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왕산로1길 25, 4층 한국경영교육인증원 사무국(사직동, 한국사회과학자료원)
E-mail : korbe08@hanmail.net
Copyright © 사단법인 한국상업경영학회, All Rights Reserved.